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원역사관
- 역사관
- 시민공원
- 웨스턴 파크
- 셰필드 박물관
- 셰필드 웨스턴 파크 뮤지엄
- 하야리아
- 고레에다 히로카즈
- 셰필드
- 부산시민공원 역사관
- 나니와바다의 시공관
- Weston Park Museum
- Museums Sheffield
- 부산시민공원
- 오사카
- Today
- Total
목록부산시민공원 역사관 (2)
감상적 속물
제2전시실: 또 다른 낯선 만남 2전시실과 3전시실은 일제강점기를 다룬 1전시실에 이어서 미군이 공원부지에 캠프 하야리아를 건설하고 주둔했던 1945년에서 2006년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그 중에서 2전시실의 전시는 하야리아 부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전시실과의 차이는 공간의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밝아졌다는 점이다. 공간의 주조색도 브라운계열에서 에메랄드계열로 바뀌었고 조도도 밝아졌다. 재미있는 점은 전시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나 메시지 자체의 뉘앙스도 함께 밝아진다는 점이다. 공원부지로 대상을 한정시켜서 접근했을 때, 일본이나 미국이나 점유의 주체가 외세라는 것은 변함이 없음에도 미국을 우방으로 인식하는 성향을 2전시실에서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전시실의 이름이 1전시실에서는 ‘잃어버린’이라는 단어..
부산시민공원 역사관 홈페이지 - http://history.citizenpark.or.kr/history/Main.do 지난 2014년 5월 개장한지 한달 만에 160만명이 다녀가고, 개장 10개월 만에 누적 방문객 1000만명을 기록한 문화시설이 있다. 바로 부산시민공원이다. 총 면적 473,279㎡의 이 공원은 350만 부산시민들로부터 그야말로 열렬한 사랑을 받고 있다. 현 공원부지 일대는 1910년 일제강점기부터 시작해서, 1945년 일제의 항복선언 이후 미군이 주둔하여 2006년 부지가 폐쇄되고 2014년 시민공원으로 개장하여 다시 부산시민의 품에 돌아갈 때까지 약 100여 년의 시간을 외세에 의해 점령당한, 대한민국과 부산의 근현대사의 질곡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곳이다. 거시적 역사와 개인들의 미..